본문 바로가기
미니_투자,재테크, 직장

2023 연봉 실수령액 ㅣ 표로 5초컷 보기

by 미니코인 2023. 3. 3.
728x90
반응형

https://blog.naver.com/joinjaang/222976480435

23년 연봉실수령액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단에 표로 바로 볼 수 있게 정리해 놓았습니다. 실제 연봉과 실수령액이 차이가 나는 이유(세금 제하는 항목)도  정리해 두었으니 확인해 주세요. 

실제 연봉과 실수령액, 왜 차이날까요?  뭐에서 그렇게 많이 떼가는거야? 

2023년 직장인 세금 내역을 정리해볼게요.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세에서 제하게 되며 이중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는 회사(사업주와 50% 나누어 내게됩니다. 22년대비 2023년에는 건강보험료는 7.09%로 장기요양보험료는 12.81%(건강보험료의 비율)를 내게 됩니다. 

항목 비율
국민연금 4.5%
건강보험 3.545%
장기요양보험료
(건보료x12.81%)
12.81%
고용보험 0.9%
소득세 임시 / 간이소득세
지방세  10%

그리고, 연봉마다 세금 내는 비율이 달라요(과세표준구간)

과세표준 구간은 세금을 얼마나 제하느냐 입니다. 연봉에 따라 세율이 달라요. 높은 연봉일수록 제하는 세금이 많습니다. 

과세표준 세율
1,400만원 이하 6%
5,000만원 이하 15%
8,800만원 이하 24%
1.5억원 이하 35%
3억원 이하 38%
5억원 이하 40%
10억원 이하 42%
10억원 초과 45%

 


그래서, 2023 직장인 실수령액은 얼마인가요? 

대략적으로 실수령액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의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어요. 회사에서 월급이나 연봉을 책정하는 방식, 계약 방식 그리고 개인의 근무기간도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연봉 2천의 실수령액은 186만원 전후입니다. 연봉 3천은 221만원, 연봉 4천은 288만원이네요. 연봉 5천의경우 351만원으로 높습니다. 연봉 7천의 경우 476만원 정도를 받게 됩니다. 

연봉 실수령액(월급)
2500 186만원 전후
3000 221만원 전후 
4000 288만원 전후
5000 351만원 전후 
6000 414만원 전후 
7000 476만원 전후 

지금까지 2023년 직장인 실수령액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연봉이 올라도 공제하는 세금대문에 그 차이가 미미해 보일 수 있는데요. 그래도 일을 하다보면 조금씩이나마 연봉이 오르게 됩니다. 이 글을 보시는 모든 직장인들 화이팅입니다:)

반응형

댓글